728x90 전체 글65 [Server] hosts 파일 위치 및 수정 방법 FQDN이 설정된 페이지에 접근 시 해당 DNS가 없으면 접근 불가hosts 파일에 해당 FQDN 입력하여 접근 파일위치 c:\Windows\System32\drivers\etc 기입 방식 hosts 파일 수정 후 저장을 하려고 하면 권한이 없다고 뜸 해결 방법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Windows\System32\drivers\etc 로 이동모든 파일 선택 hosts 파일 선택 내용 수정 후 저장 새로고침 후 접근 가능 2024. 7. 23. [Script-Terraform]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폐쇄망에서 Terraform 동작 폐쇄망에서의 Terraform을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4. 7. 15. [Script-Terraform] Terraform을 사용해 Cisco ACI 자동 배포 Terraform을 사용해 Cisco ACi에 Fabric과 Tenant를 자동 배포하는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CiscoDevNet/aci/latest/docsTerraform Docs에 있는 코드를 사용해 진행하였습니다.Terraform 설치 후 init -> plan -> apply 를 통해 배포를 합니다. Terraform을 설치하고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구성이 생성이됩니다.Terraform은 Provider.tf에 설정되어 있는 플러그인을 Terraform registry에서 찾아 다운로드합니다.때문에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registry를 불러와 정상 동작을 하게 됩니다.아래는 Terraform 을 이용한 ACI.. 2024. 7. 15. [Script-PowerCLI] vRealize Network Insight 트래픽 사용량 추출 Script vRealize Network Insight에서 특정 VM의 트래픽 사용량 추세를 추출 및 확인하는 Script를 작성해 보았습니다.해당 내용은 Network Insight의 API를 사용하여 NSX-T LB의 특정 VS에 대한 트래픽 사용량을 추출하여 엑셀로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기존 Network Insight에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Destination IP Address에는 LB의 VIP를 입력하고 서비스 포트를 입력해주시면 해당하는 플로우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flow where destination ip address = {확인하고자 하는 VIP} and port = {해당하는 서비스 포트} 다만 해당 정보는 목적지 IP에 대한 여러 플로우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2024. 7. 15. [AWS] AWS 구성 방법 [1] [VPC, Subnet, RT, GW] AWS 초기 구성 방법 및 VPC,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게이트웨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4. 7. 15. [Server-Kubernetes] k8s CKA 시험 공부 방법 공유 Kubernetes CKA 시험 공부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공부 순서 1. 유튜브 강의를 통한 기본 내용 학습 2. Udemy CKA 자격 관련 강의 수강 3. Kodecloud와 Killercoda를 사용하여 실습 4. 시험 접수 1. 유튜브 강의를 통한 기본 내용 학습 따배쿠 - 따라하면서 배우는 쿠버네티스 입문편https://www.youtube.com/watch?v=6n5obRKsCRQ&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 유튜브 한국어 무료 강의를 통해 쿠버네티스에 대한 기본 내용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2. Udemy CKA 자격 관련 강의 수강 https://www.udemy.com/course/certified-kubernetes-administr.. 2024. 7. 15. [Securiy] ASA FW 컨피그 구성 및 설명 Cisco ASA 방화벽으로 테스트 망을 구성하면서 설정한 컨피그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방화벽 모델- ASA 5555 Sh run --------------------: Hardware: ASA5555, 16384 MB RAM, CPU Lynnfield 2800 MHz, 1 CPU (8 cores) : ASA Version 9.14(4)14 ! hostname HQ-FW # 방화벽 호스트 이름 enable password ***** pbkdf2 # 활성화된 모드에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 설정 service-module 0 keepalive-timeout 4 # 서비스 모듈의 유지 시간(초) 설정 service-module 0 keepalive-counter 6 # 서비스 모듈의 유지 카운터 .. 2024. 7. 15.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ARP 동작 방식 외부 네트워크와의 ARP 동작 방식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기존 ARP 동작 방식의 이론 및 기초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바랍니다.https://cheezezam.tistory.com/entry/Network-ARP-%EB%8F%99%EC%9E%91-%EB%B0%A9%EC%8B%9DL3 스위치가 포함된 외부네트워크와의 ARP 동작방식입니다. [해당 내용은 GARP를 제외한 동작 방식입니다.]각 인터페이스에 맥 또는 IP가 지정되어있고 ARP Table과 MAC Table은 모두 비어있습니다.R1에서는 각 포트에 라우팅을 지정하여 10.10.10.0/24 대역과 20.20.20.0/24 대역의 정보를 라우팅테이블에 저장합니다. 스위치 간의 포트가 연결될 시 STP, CDP, LLDP 등의 트래픽을 .. 2024. 7. 5.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728x90